-
let 함수는 스스로의 객체를 인자로 받아 사용한다, 중괄호 내부에서 해당 객체를 it 키워드로 호출 또는 명시적으로 변수명을 지정하여 호출 할 수 있다.
var s1 = "str" s1.plus("2") println(it) //출력: str s1 = s1.plus("3") println(it) //출력: str3 s1.plus("4").let { println(it) //출력: str34 } s1.plus("5").let { sx -> println(sx) //출력: str35 }
리턴값
내부의 마지막 줄에 식이 아닌 변수나 객체 단일로 존재할 시, 그 값이 반환값이다.
var s1 = "str" var s2 = s1.let { it.plus("k") "kkk" } println(s2) //출력: kkk
기본값
var str1: String? = null var str2 = str1?.let { "kkk" } ?: "Defalut value" println(str2) //출력: "Defalut value"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ync, Launch, Cancel, CoroutineScope (0) 2022.07.28 Kotlin에 Coroutine사용 (0) 2022.07.28 CoroutineContext, Dispatchers (0) 2022.07.28 apply, also (0) 2022.07.28 run (0) 2022.07.28 with (0) 2022.07.28 Android KTX (0) 2022.07.28 Kotlin문법 (0)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