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자본이익률(ROE)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평균 자기자본 ×100
* 기업의 부채비율 무시
기업의 부채비율을 고려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업의 자기자본만을 가지고 당기 순이익과 비교하는 것은 약간의 왜곡이 발생.
* 위험을 상쇄할만한 이익률고려 필요
당연 은행이자 보다 높아야하고, 위험부담을 포함해 계산해보아야 한다
인플레이션에 의한 물가상승률, 통화가치 하락, 기업부도의 위험 등 해당기업의 안정성을 고려.
* ROE = EPS/BPS
ROE=순이익/자기자본(자본총계) = EPS(주당순익)/BPS(주당순자산)
* 예제1
[(주)C1]의 총 자산가치는 100억원, 법인세율은 40%, 총 자산 중30%인 30억원을 이자율 10%인 부채로 차입. 1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해서 10억원의 영업이익이 발생.
- 영업외비용: 30억에 이자 10% = -3억
- 당기순이익: 영업이익10억 -3억 = 세전7억, 40%세금 적용 = 당기순이익4.2억
- 자기자본이익률(ROE): 100중 자기자본 70억이므로 4.2/70 = 자기자본이익률 6%
- 이자도 당기인가?
- 총 자산가치는 주가반영인가?
* 재무레버리지
재무레버리지 = 수익/자기자본
재무레버리지는 자기자본을 적게 하고 타인자본(부채)을 많이 끌어서 수익을 내는 것을 말한다.
ROE가 ROA보다 큰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