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목장 초지운용과 경제성
    Search: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2011. 8. 23. 22:53

    Name 작은곳 [ IP : 210.94.41.89 ]
    Subject 초지조성을 통한 목장운영의 경제성
    앞으로 목장 또는 농장을 하고자 하는 10년차 직장인입니다.
    5년후쯤 진행을 하려고 하는데, 현시점이 목장이냐, 농장이냐를 결정하고 집중적으로 공부를 하려고 하는 순간에 필요한 정보가 있어서 이렇게 문의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목장을 할지 농장을 할지 결정에 앞서서, 가장 궁금한 것이자 걱정이 우리나라에서 초지조성을 통한 낙농업이 과연 경제성이 있느냐라는 것과 어느정도 규모를 이루어야 경제적 효과가 나오는냐는 것입니다.
    친환경과 식량안보등 좀더 훗날을 생각할때의 당위성이 있지만, 대부분의 개인의 입장으로서는 경제성이 얼마나 있는지가 궁금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먼저 얼핏드는 생각에 아직 우리나라에서 초지조성을 통한 방목이 활성화가 되지 못한것은 경제성이 없거나, 투자대비 이윤이 작거나(방목없이 사료로 가축을 키우는것 대비 이윤이 작거나)를 , 아니면 초기투자비용이 커서 자본이 충분하지 못한 개인이나 단체(법인)은 할수 없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주변환경과 경제적 여건의 조건들이 너무 많아서 경제성을 따지기에 경우의 수가 많겠지만, 몇가지 질문을 드리며 경제성 측면에서의 교수님의 포괄적인 의견(조언?)을 구합니다.

    - 1ha당 초지조성에 들어가는 비용
    . 경운초지 vs 불경운초지
    . 만일 임야를 개간해야하는 경우의 초지조성비용

    - 초지 조성을 위한 토지 구매시, 평당 or 1ha당 어느정도 가격이 한계가격(마지노선)인지?
    . 도로, 전기, 물등... 어느정도 infra가 갖추어진 곳에서 목장을 해야할것 같은데, 이 경우 소위 말해 땅값이 걱정이 됩니다.

    - 1ha당 2~4마리(젖소 or 한우)를 키울경우 경제성을 확보하려면 어느정도 규모가 되어야 할까요?
    . 여기서 경제성이라는 것은 축사에서 자가생산없이 구매를 통해 가축을 키우는 경우와 비교할때, 동등 또는 80%정도의 열세정도면 해 볼만 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 위의 세 질문에 대한 연구나 자료가 없으시다면, 경제성측면에서의 "초지조성을 통한 방목"에 대한 교수님의 추정과 의견을 구합니다.
    . 한우 또는 젖소 50마리 정도를 키우는 수준의 규모를 생각할때, 대략적인 초기투자비용과 몇년후의 연소득이 어느정도 될지...? (정말 대략적인 추정 내용이면 되고... 답변에 부담을 가지시지 마셨으면 합니다.^.^)

    - 끝으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큰 목장이 강원/경기도등 기후가 서늘한 곳에 있는데,
    경상북도 남부나 경남의 해안같은 따뜻한 곳에서 초지조성과 목장운영이 가능할지 문의 드립니다.

    목장이 되든지 농장이 되던지 경제적으로 성공이 되어야 많은 사람들이 그 산업에 참여를 하게 되고 규모와 경쟁을 통해 그 산업이 더 발전을 할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기업단위의 규모가 아닌, 개인이 목장을 했을때 일반 대기업의 연봉 이상의 연 소득을 이룰수 있는 "초지조성 후 방목"의 case를 만들수 있다면 초지조성의 확대와 축산/낙농업의 경쟁력과 확대를 가져올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끝으로 푿소 사랑에서 좋은 정보와 자료를 무료로 이용하고 공부를 할수 있다는 것에 솔직히 죄송스러운 마음이 들 정도로 좋은 내용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자료를 공유해 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Name putso [ IP : 121.138.82.208 ]
    Subject 초지조성을 통한 목장운영의 경제성
    1. 초지조성비용
    초지조성 비용은 토목공사비처럼 어떤 조건의 땅을 어떤 형태로 만드느냐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며 정부가 제시한 1ha(10,000㎡) 당 초지조성 비용은
    ○ 경운초지 : 4,797천원
    ○ 불경운초지 : 3,605천원
    ○ 임간초지 : 2,810천원 이고
    그 비용은 초지법에 의해 국가로부터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 또는 융자 받을 수 있습니다.[농림수산식품부고시 제2010-150호, 2011.1.3, - 축산정책과, 02-500-2053]

    적은 돈으로 좋은 초지를 만드는 것이 초지조성 기술이겠지요.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초지를 만들 경우 이보다 적게 들 수도 있고, 목척을 설치하면 더 들 수도 있습니다.

    2. 초지 중심의 조성을 위한 토지 구매시, 평당 or 1ha당 어느 정도 가격이 한계가격(마지노선)인지?
    - 진정으로 초지를 할 의향이 있으시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첫째 국공유지를 싼 값에 임대 할 수 있고, 둘째, 모든 땅은 그 자체의 가치가 있으며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초지 조성으로 인하여 지목변경, 산림벌채, 초지도로 등 부가가치 상승으로 부동산 투자 이상의 가치가 있으며(초지 전용이 늘어나는 이유), 셋째, 국가 차원에 보면 가격에 상관없이 땅은 그대로 있고 농업생산성, 국토이용효율이 개선 되고, 풀사료 수입대체 효과 등 국부축적에 도움이 됩니다(현재 산림이 67% 차지)
    - 부담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투자 한다고 생각 하십시오(삼양목장은 친환경 관광레저 단지로, 신정목장은 골프장으로, 사철목장, 서광목장, 태신목장 등 큰 목장들을 호시탐탐 노리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결국은 의지 문제이고, 초지는 결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3. 진입 도로, 전기, 물 등...산업 infra에 너무 많은 돈이
    - 초지조성 및 기반조성 지원 사업(2011-농림수산사업시행지침서)에 의해서 초지조성은 물론이고 기반시설(용수개발, 전기시설, 진입로 rotjf, 부지정지, 울타리설치 등)에 대한 지원 분만아니라 조사료용 기계·장비 지원도 가능 하므로 의지와 철학만 있다면 장애가 되지 않습니다. - 농림수산식품부 홈페이지 좌측하단 농림수산사업시행지침서 축산편 참조)

    4. 1ha당 2~4마리(젖소 or 한우)를 키울 경우 경제성을 확보하려면 어느 정도 규모가 되어야 할까요?
    - 넓을수록 좋겠지요. 최소 10ha만 확보되면 친환경 고급육으로 승부가 있겠지요. 축사에서 자가 사료생산 없이 구입 구입사료로 가축을 키우는 경우와는 비교하지 마십시오. 그것은 축산이 아니라 가공업 입니다. 구제역과 같은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계산하면 비교 자체가 안 되겠죠. 정부정책도 앞으로는 이쪽을 우선 지원 할 것입니다. 만약 그렇게 되지 않는다면 모든 축산관련자들을 의심 해봐야 합니다.

    5. 위의 세 질문에 대한 연구나 자료가 없으시다면, 경제성측면에서의 "초지조성을 통한 방목"에 대한 교수님의 추정과 의견을 구합니다.
    - 초지 조성 기술과 초지의 연간 사초 생산량이 곧 경제성과 직결 됩니다. 아울러 국가가 지원하는 부분 중 무리가 없는 부분은 지원을 받되 의존 하시면 안 되고요. 초지조성을 통한 방목을 하거나 경종농업과 함께 축우경영을 하신다면 손해 보시는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6. 한우 또는 젖소 50마리 정도를 키우는 수준의 규모를 생각할 때, 대략적인 초기투자비용과 몇 년 후의 연소득이 어느 정도 될지...?
    - 젖소와 한우는 많이 다릅니다
    - 젖소 50(착유우)두면 한우 250두 규모의 일과 비슷할 것입니다.
    - 얼마나 일을 잘 하시는지에 따라 투자비도 다르고 소득도 달라지니 여러 목장에 가셔서 물어 보십시오.(착유우 50두면 6,000만~1억 정도의 수익은 되지 않을까요).

    7. 끝으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큰 목장이 강원/경기도등 기후가 서늘한 곳에 있는데, 경상북도 남부나 경남의 해안 같은 따뜻한 곳에서 초지조성과 목장운영이 가능할지 문의 드립니다.
    - 사업장을 하나 내는데 성공할지 어떨지와 같은 대답입니다. 약간 불리하기는 하지만 적합한 초종만 선택하면 불가능 한 것은 아닙니다. 골프장도 초지의 일종입니다. 골프장은 되는데 초지가 안 된다면 이상 하지요.

    궁금한 점은 "홈-초지-초지를 만듭시다 "를 참조하시고 또 연락 주세요
    감사합니다

    위 내용은 푿소사랑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방문하시면 유용한 정보 공부하셔요

    - Ways to Enhance Profits, Protect the Environment
    and Improve Quality of Life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