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가 변화와 정유사 마진
    Search: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2018. 4. 15. 16:04

    아시아 난방유 사용시기에 수익이 좋은편. 8월을 저점으로 이듬해 2월까지 정제마진이 상승.

    계절적 수요가 있는 구간인 1~2월 동절기, 4~5월 드라이빙 시즌 대비 비축기, 9~10월 드라이빙 시즌 이후 비축기에는 유가 상승분이 제품가격에 전가.


    정유사의 정제마진 손익분기점은 배럴당 4~5달러. 정제마진이 1달러 하락하면 정유사 영업이익이 분기당 약 2000억원 감소

    정제마진에는 ‘시차효과(래깅효과)’라는 것이 작용. 원유를 선적지 기준으로 계약하고 한국까지 운송하는 데는 한 달 정도가 걸린다.

    정유사는 유가 상승분만큼 석유제품 가격을 올릴 수 없는 데다 유가가 오르면 석유제품 수요도 줄어드는 문제.

    보통 유가가 오르면 단기적으로는 판가 상승으로 정제마진 상승 된다. 원재료인 유가가 올랐는데, 제품 재고나 공급이 많아 판가 상승이 어렵다면 정제마진은 나빠진다. 판가 상승 때문에 제품 수요가 크게 줄면 판가 역시 하락하기 때문에 정제마진은 떨어진다. 

    정제마진은 유가 상승보다 수요 위축이 더 큰 요인으로 작용

    유가가 급등하면 미국이 셰일 생산량을 늘려와서 조정됐다

    중국 정부가 올해 석유제품 수출 쿼터를 작년보다 30% 가까이 늘려 잡아 공급과잉  우려.
    현재 중국의 신증설 물량 효과는 마무리 단계이고, 티팟 가동률 상승은 정체됐다.

    정유업계는 화학 등 비(非)정유부문 사업  기대


    국제유가가 급락했던 2014년 6월 이후 국제유가 등락의 키는 수요가 아닌 공급. 유가 등락이 제품가격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유가 상승은 마진 하락, 유가 하락은 마진 개선으로 볼수도 있다. 


    정제마진 관련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