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협동조합 (Cooperative)
    Search: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2021. 8. 13. 10:31

    연관: 농협 (농업 협동조합,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農業協同組合)

     

    협동조합

    같은 목적을 가지고 모인 조합원들이 물자 등의 구매·생산·판매·소비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협동으로 영위하는 조직단체다.

    신용협동조합은 조합원을 위한 금융이 사업의 중심이 된다. 이상의 협동조합은 단위협동조합인데, 이 단위조합이 일정한 지역 등을 기반으로 연합체를 결성한 것이 협동조합연합회이다.

    기업조합(企業組合). 기업조합 이외의 일반협동조합은 작은 생산업체들이 제각기 독립된 자기사업을 가지고 참여한 연합체로, 일종의 복합기업형태인 데 비하여 기업조합은 조합원의 2/3 이상이 조합의 종업원이어야 하고 또 조합종업원의 1/2 이상이 조합원이어야 한다.

     

    조합의 원칙, 비영리추구

    순수한 조합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협동조합의 특징은 자본구성체(資本構成體)가 아니고 인적구성체(人的構成體)로 민주적 운영을 의도한다.

    사업의 목적이 영리에 있지 않고 조합원 간의 상호부조에 있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조합의 운영은 실비주의를 원칙으로 한다.

    조합원은 출자액(出資額)의 다소에 관계없이 일인일표(一人一票)의 평등한 의결권(議決權)을 가진다.

    잉여금을 조합원에게 분배함에 있어서는 출자액의 다소에 의하지 않고 조합사업의 이용분량에 따라서 실시한다

     

    조합의 모호함 관련 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018&aid=0002518675

     

    비영리추구에 영여금

    거래에 현실적으로 약간의 위험부담을 위한 비용이 가산된다. 이로 인하여 잉여금이 생긴다. 실비의 과하게 거두었던 것을 조합사업의 이용에 쓰고 남은 비용을 조합원에게 반환하는 것이다. 잉여금 분배처럼 보이는 것에 불과하다.

     

    조합의 사업

    사업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영위한다.

    ① 생산·가공·판매·구매·보관·운송·검사 등의 공동시설
    ② 조합원에 대한 자금대부와 조합원을 위한 자금의 차입
    ③ 복리후생시설
    ④ 경영·기술의 개선, 지식의 보급을 위한 교육과 정보의 제공
    ⑤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를 개선하기 위한 단체협약의 체결
    ⑥ 기타 이상의 사업에 부대되는 사업 등이다.

     

    조합의 종류

    협동의 범위·정도가 낮은 것은 단일협동의 정도에 머물러 있는 단일조합이 있고, 정도가 높은 것은 다각적인 협동기능으로 발전하는데, 한국의 농업협동조합은 신용·구매·소비 등의 복합적인 넓은 범위다.

    생활협동조합. 소비조합에 해당, 조합원의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싼값으로 공동구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의 소비조합은 소매조합으로 구성되지만 간혹 여러 조합이 연합하여 도매조합을 결성하는 경우도 있다.

    생산조합. 조합원의 생산물을 협동하여 단순히 출하·판매만을 하는 판매하는 판매조합과, 간단한 가공을 하여 출하판매하는 가공판매조합이 있다.


    구매조합, 조합원의 사업에 필요한 물자를 협동하여 구입하기 위함.

    이용조합(利用組合), 조합원이 단독으로서는 갖추지 못하거나 단독사용이 비경제적인 시설을 공동으로 설치하여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함.

    신용협동조합, 조합원을 위한 금융사업만을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