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 인구 성비
    Search: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2016. 6. 26. 10:29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ec&sid1=101&oid=050&aid=0000036451
    “서울은 서비스업 비중이 가장 높고 젊은 여성이 많아 여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산업구조를 가진 대도시로 이동
    울산은 서비스업이 광역시 중 가장 낮고 제조업 비중이 높아 남성이 많은 특징
    2009년 여학생의 대학 진학률이 처음으로 남학생을 앞질렀다. 2013년 진학률(74.5%)이 남학생(67.4%)보다 7.1% 포인트나 높았다.
    북유럽 사례를 볼 때 기존 남성이 많이 진출해 있는 영역과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에서 맹활약하는 여성들도 늘어날 전망
    생산 가능 인구는 2016년 370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7년부터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생산 가능 인구의 주력인 25~49세 인구는 2014년 1958만 명, 2015년 1940만 명으로 이미 줄어들고 있다. 2030년도엔 전체 인구수가 감소하는 ‘인구 역전’이 예상된다. 무역협회 산하 국제무역연구원은 2020년쯤을 기점으로 한국은 소비 둔화와 함께 경제가 하강하는 ‘인구 절벽’에 도달할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