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업자 업종코드 01300
    Search: 세금,사업 세금,사업 2025. 4. 23. 10:14

     

    업종코드 01300은 작물 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을 의미한다. 만약 작물 재배 또는 축산 활동 중 어느 한쪽의 전문화율이 66% 미만으로 운영될 때 01300 코드를 적용할 수 있다.


    예시 (전문화율이 66%미만):
    밭에서 채소를 재배하면서 동시에 소나 돼지를 소규모로 사육하는 경우
    논에서 벼를 재배하면서 닭이나 오리를 함께 기르는 경우
    과수원에서 과일을 재배하며 꿀벌을 관리하여 양봉업을 겸하는 경우

     

    만약 축산 활동이나 작물 생산 활동을 복합적으로 운영하더라도, 어느 한쪽의 전문화율이 66%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된 산업 활동에 따라 각각의 작물 재배업 (011XX) 또는 축산업 (012XX) 코드를 적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채소 재배를 주업으로 하면서 아주 작은 규모로 가축을 기르는 경우, 전문화율이 채소 재배에 66%를 넘을 가능성이 크므로 011XX 코드를 적용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반대로 축산업을 주업으로 하고 일부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도 전문화율에 따라 012XX 코드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01300 코드는 작물 재배와 축산 활동이 비교적 균형 있게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형태의 농업 경영에 해당한다.

     

     

    기타

    직접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축산업을 영위하는 경우.
    011XX: 작물 재배업 (곡물 및 기타 식량작물, 채소, 화훼작물 및 종묘, 과실, 음료용 및 향신용 작물, 기타 작물, 시설작물 재배업 등 세분화)
    012XX: 축산업 (소, 기타 축산, 양돈, 가금류 및 조류 사육업 등 세분화)
    01300: 작물 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전문화율이 66%미만).

    농업 관련 서비스업 (작물 재배 및 축산 관련)
    01411: 작물 재배 지원 서비스업 (농경지 정리, 파종, 비료 살포, 농작물 보호, 수확 등 작물 재배를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
    01412: 농산물 건조, 선별 및 기타 수확 후 서비스업 (수확된 농산물의 품질 향상 및 상품화를 위한 서비스)
    01420: 축산 관련 서비스업 (가축 사육 시설 관리, 질병 예방, 인공수정 등 축산 농가를 지원하는 서비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