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물영양 - 마그네슘, 고토(Mg)
    Search: 식물 식물 2020. 5. 2. 12:30

    고토苦土 산화마그네슘 MgO의 고전적인 명칭.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식물영양 목록;

    식물영양 - 질소(N)
    식물영양 - 인(P)
    식물영양 - 칼륨(K)
    식물영양 - 칼슘(Ca)
    식물영양 - 마그네슘(Mg)
    식물영양 - 황(S, 유황)
    식물영양 - 망간(Mn)
    식물영양 - 몰리브덴(Mo)
    식물영양 - 붕소(B)
    식물영양 - 염소(Cl)
    식물영양 - 구리(Cu)
    식물영양 - 철(Fe)
    식물영양 - 아연(Zn)
    식물영양 - 니켈(Ni)
     

    동물영양 마그네슘 https://infos.tistory.com/3199



     

    마그네슘, 고토(Mg)

    엽록소의 구성성분.
    인산의 흡수 이동에 관계,  유지, 합성, 탄수화물대사, 인산대사에 관계하는 효소의 활성화.

    마그네슘은 에너지 수송, 단백질 합성 등 다양한 대사 과정에서 필요.

    칼슘과 함께 적용되는 마그네슘은 농작물을 저장 하는동안에 부패의 양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5417 잎의 엽록소 생성과 뿌리의 구연산 생성에 연관(D5417 Mt: P는 구조 -> N은 확장 -> Mg은 생산).

     

    광합성, 엽록소

    마그네슘은 엽록소 분자의 중심 원자다. 엽록소 분자는 포르피린 고리라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 고리의 중심에 마그네슘 이온이 결합되어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마그네슘이 없으면 엽록소가 형성될 수 없어 광합성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마그네슘은 엽록소 분자의 일부로서 직접적으로 광합성 과정에 참여한다.

     

    뿌리 발달

    Mg는 건강한 뿌리 시스템 발달에 필수적이다. 잘 발달된 뿌리 시스템은 토양으로부터 물과 영양분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한다. Mg 부족은 뿌리 생장을 저해하여 인 흡수 능력을 간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인산

    마그네슘은 뿌리에서 인산의 흡수를 돕고, 흡수된 인산을 식물체 내의 생장점으로 이동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인산 비료를 아무리 많이 줘도 식물이 제대로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

    Mg는 토양 내에서 인산염과 결합하여 식물이 흡수하기 쉬운 형태의 인산염 화합물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칼슘이 많은 토양에서 Mg는 칼슘-인산염 침전 형성을 억제하여 인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Mg가 식물체 내에서 인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Mg는 인산염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잎과 같은 광합성 기관에서 뿌리와 같은 비광합성 기관으로 인을 이동시키는 데 관여할 수 있다.

    토양 내 다른 이온과의 상호 작용도 Mg의 인 흡수 영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토양 내 칼슘(Ca) 농도가 너무 높으면 Mg 흡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인 흡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대로, 적절한 Mg 수준은 칼슘과의 균형을 유지하여 전반적인 영양분 흡수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Mg결핍, 식물속

    오래된 잎에서 엽록소 부족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황색으로 변한다, 잎 끝에 퇴색된 병반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 아랫잎부터 잎끝과 가장자리에 황화현상이 시작되고 잎맥에서 가운데로 퍼진다. 잎맥 사이가 죽어 갈색이 된다

    마그네슘은 식물체 내에서 이동이 쉽게 되기 때문에 묵은 잎에 축적되어 있는 마그네슘 성분을 어린잎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묵은 잎에서부터 황화증상이 나타난다. 서서히 결핍되는 경우에는 잎의 끝 쪽에서부터 잎맥의 녹색을 거의 남기지 않고 황화되나, 급격히 부족 될 경우에는 잎줄기 사이에서부터 황화현상이 서서히 일어나기도 한다. 마그네슘결핍증은 K결핍증과 달리 황변부와 녹색부위와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판별 시 주의해야하는데, K결핍증은 심해지면 잎 가장자리가 괴사하므로 구별이 된다. 또 장기간 저온이 계속되고 광선이 부족해도 잎의 황화가 발생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Mg결핍, 토양속

    토양 속에 마그네슘함량이 근본적으로 부족한 경우와 토양 중에 마그네슘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어도 칼리 비료의 다량 시용 등에 의해 나타나는 길항작용으로 마그네슘 흡수가 방해되는 경우, 작물 전체가 마그네슘 요구량은 많으나 뿌리로부터의 공급이 따르지 못한 경우, 배수가 불량으로 뿌리의 활동이 약해지거나 건조되기 쉬운 땅에서 많이 발생한다.

    양이온과 경쟁적 흡수
    토양 내에 이들 양이온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마그네슘과 흡수 부위에서 경쟁하여 마그네슘 흡수를 방해합니다.  칼륨(K), 칼슘(Ca), 암모늄(NH₄⁺).
    특히  칼륨(K)과 칼슘(Ca)은 마그네슘 흡수를 강하게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 토양 내 칼슘과 마그네슘의 적절한 비율 유지가 중요하다.

    너무 낮거나 높은 pH: 마그네슘은 pH 4.5~8.5 범위에서 식물이 잘 흡수할 수 있다. 산성 토양(pH < 5.5)에서는 알루미늄과 망간의 용해도가 높아져 마그네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알칼리성 토양(pH > 8.5)에서는 칼슘과 경쟁적으로 흡수되어 마그네슘 흡수가 저해될 수 있다.

     

    Mg결핍 예방

    마그네슘결핍증이 나타나는 밭에서는 밭을 만들 때 충분한 마그네슘비료(황산고토, 고토석회 등)를 넣어준다. 토양이 산성일 경우에는 고토석회 비료를, 알칼리성인 경우에는 황산고토를 300평당 80 ~ 100kg 정도 시용한다. 또 칼리와 석회질 비료를 많이 시용하지 않도록 하고 마그네슘이 많이 들어있는 용성인비를 밑거름으로 주는 것이 좋다. 마그네슘결핍증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가급적 빨리 1 ~ 2%의 황산마그네슘수용액을 1주일 간격으로 3 ~ 5회 엽면살포를 한다

     

    Mg부족 증상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엽록소 형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잎이 황화증상을 나타나게 되는데, 잎맥 사이가 누렇게 변하고 잎맥의 녹색은 늦도록 남기 때문에 잎이 그물눈처럼 보인다.

     



    온도

     

    '양분별 이온화 온도'
    '토양 온도에 따른 뿌리 생육'

     

    뿌리 구연산

     

    'https://youtu.be/OPOR0KEBWpM?t=191'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협 마늘보험 보장 범위 2020  (0) 2020.10.27
    마늘 비닐  (0) 2020.10.01
    중국산 마늘 수입 2020  (0) 2020.08.19
    벌마늘 발생 영향  (0) 2020.05.05
    식물영양 - 아연(Zn)  (0) 2020.04.29
    식물영양 - 철(Fe)  (0) 2020.04.29
    식물영양 - 구리(Cu)  (0) 2020.04.29
    식물영양 - 붕소(B)  (0) 2020.04.29

    댓글